창원시 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원시 을은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창원시 선거구에서 분구되어 신설된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1992년 신설되어 2000년까지 반림동, 반지동, 대원동, 내동, 중앙동, 가음정동, 남산동, 성가동, 태남동, 신촌동, 삼귀동을 관할했으며, 2010년 창원시, 마산시, 진해시가 통합되면서 성산구가 신설, 2012년 창원시 성산구 선거구로 개편되며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황낙주, 이주영, 권영길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2012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수원시 팔달구 (선거구)
수원시 팔달구 선거구는 1996년부터 2008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선거구로,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지역을 관할했으며 선거구 개편으로 폐지되었고 남평우, 남경필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1992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수성구 갑
수성구 갑은 1992년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범어, 만촌, 황금, 고산 등의 지역을 관할하며, 박철언, 김부겸, 주호영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1992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북구 갑 (광주)
광주 북구 갑은 1992년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광주광역시 북구 일부를 관할하며, 주로 더불어민주당 계열 후보가 당선되었지만 2016년에는 국민의당 후보가 당선되기도 했다. - 창원시의 정치 - 창원시 성산구 (선거구)
창원시 성산구는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적용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창원시 성산구 전 지역을 관할하며 진보 정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이지만 선거 결과에 따라 정치 지형에 변화가 있다. - 창원시의 정치 - 창원시 마산회원구 (선거구)
창원시 마산회원구 선거구는 2010년 창원시 출범과 함께 신설되어 마산회원구 전 지역을 관할하며 19대 총선부터 22대 총선까지 4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고, 안홍준, 윤한홍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특히 윤한홍은 3선 국회의원이다.
창원시 을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한민국 선거구 정보 | |
이름 | 창원시 을 |
의회 | 국회 |
큰지도 | 경상남도 |
연도 | 1992 |
폐지 | 2012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창원시 |
이후 선거구 | 창원시 성산구 |
의원수 | 1인 |
2. 역사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창원시 선거구가 창원시 갑, 창원시 을 선거구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당시 반림동, 반지동, 대원동, 내동, 중앙동, 가음정동, 남산동, 성가동, 태남동, 신촌동, 삼귀동을 관할했다.
2010년 7월 1일, 마산시, 창원시, 진해시가 통합되면서 통합 창원시가 출범했다. 창원시에 구제가 실시되면서 창원시 을 선거구 관할 지역에 성산구가 신설되었다. 이에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창원시 성산구 선거구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선거구 관할 구역 변천
3. 역대 국회의원
wikitable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wikitable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황낙주 후보가 42.9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통일국민당 서선호 후보는 31.68%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황낙주 | 민주자유당 | 32,278 | 42.94% |
서선호 | 통일국민당 | 23,816 | 31.68% |
성종대 | 민주당 | 11,408 | 15.17% |
권대운 | 무소속 | 3,595 | 4.78% |
제선수 | 무소속 | 2,484 | 3.30% |
강청웅 | 신정치개혁당 | 1,587 | 2.11% |
이학용 | 민중당 | 등록무효 | - |
4. 2.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남도 창원시 을 선거구는 총 151,570명의 유권자가 있었다. 신한국당 황낙주 후보가 36.29%의 득표율(32,902표)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규칠 후보는 26.02%(23,587표), 통합민주당 이주영 후보는 16.19%(14,683표)를 얻었다. 그 외 자유민주연합 김영성 후보는 6.18%(5,609표), 새정치국민회의 한명철 후보는 6.14%(5,567표), 무소속 서선호 후보는 5.02%(4,558표), 무소속 강성모 후보는 2.91%(2,638표), 무소속 김호경 후보는 1.21%(1,101표)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90,645표였다.4. 3.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남도 창원시 을 선거구의 총 유권자 수는 155,011명이었다. 한나라당 이주영 후보가 44.13%의 득표율(41,729표)로 당선되었다.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는 38.68%(36,579표), 새천년민주당 차정인 후보는 13.26%(12,543표)를 득표했다. 그 외 민주국민당2000 심태회 후보는 2.12%(2,007표), 자유민주연합 김영성 후보는 1.78%(1,688표)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94,546표였다.4. 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남도 창원시 을 선거구는 유권자 157,768명 중 105,919명이 투표하여,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가 52,758표(49.80%)를 얻어 당선되었다. 한나라당 이주영 후보는 40,046표(37.80%), 열린우리당 박무용 후보는 13,115표(12.38%)를 얻었다.4. 5.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남도 창원시 을 선거구의 총 유권자 수는 177,562명이었다.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가 42,809표(48.19%)를 얻어 당선되었다. 한나라당 강기윤 후보는 39,667표(44.66%), 통합민주당2008 구명회 후보는 4,416표(4.97%), 평화통일가정당 황성배 후보는 1,926표(2.1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88,818표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